162
yesterday 254
visitor 1,490,995

 





▲ 불가촉천민에서 차기 대통령으로 거론될 정도로 성공한 인도의 나렌드라 자다브 푸네대 총장은 인터뷰 내내 ‘기회균등’을 강조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저는 ‘달리트’(불가촉천민) 출신입니다. 침이 땅을 더럽히지 않도록 작은 항아리를 목에 걸고 다녀야 하고, 자기 발자국을 지우기 위해 빗자루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달리트 입니다. 그런 제가 카스트의 족쇄를 끊었습니다. 저와 제 책 자체가 희망의 메시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렌드라 자다브(54). 미국 인디애나 대학 경제학 박사, 인도중앙은행 수석 경제보좌관, 현 인도 푸네대학 총장. 향후 인도중앙은행 총재 혹은 재무장관, 나아가 차기 대통령으로까지 거론되는 사람. 그러나 그는 달리트(Dalit)이다.

‘오염되기 싫으면 닿아서도 안 되는 사람’이 불가촉천민 달리트, 브라만(승려)·크샤트리아(왕이나 귀족)·바이샤(상인)·수드라(피정복민 및 노예, 천민) 등 카스트 제도의 네 가지 계급에도 끼지 못하는 ‘아웃 카스트’가 달리트다. 오물수거·시체처리·가죽가공·세탁 등의 일을 도맡으며 ‘오직 구걸할 권리’만 허용됐던, 인도 인구 15%(1억 7000만명)가 달리트다.

●교육 통해 ‘신이 정한 운명´ 뛰어넘어

자다브 총장이 외교통상부 초청으로 12일 한국에 왔다. 입국에 맞춰 ‘신도 버린 사람들’(김영사 펴냄)이란 책도 출간됐다. 책의 원제목마저 ‘Untouchables’, 즉 불가촉천민이다.13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기자와 만난 자다브 총장은 “인도의 달리트는 깨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부터 신분보다 능력으로 인정받는 문화가 상당히 형성됐고,55년 불가촉천민법 제정으로 달리트에 대한 종교·사회·직업적 차별이 금지됐습니다. 하지만 카스트제도는 여전히 인도 국민을 괴롭히는 ‘괴물 같은 존재’입니다. 카스트가 존속한 지난 3500년간 달리트는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져왔고, 결국 변화는 교육으로부터 싹트고 있습니다.”

현재 인도의 많은 달리트이 고등교육을 받으며 신분제도란 거대한 벽에 도전하고 있다.‘깡패’를 꿈꾸던 그 역시 교육을 통해 ‘신이 정한 운명’을 뛰어넘었다. 자다브 총장은 ‘가난’과 ‘문맹’이란 인도 사회의 핵심문제를 해결할 열쇠도 교육이라고 단언한다. 그는 “인도의 미래를 밝힐 최대 강점은 젊은층 인구의 폭발이고, 이들을 길러내는 질 높은 교육 인프라는 인도의 현재를 극복할 핵심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자신의 존엄성은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

‘신도 버린 사람들’은 자다브 총장의 부모에 대한 이야기다. 자신을 위해서는 책 말미 일부분만 할애했다.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이 재미있다.

“1970년 세탁업을 하던 아버지가 은퇴했습니다. 할 일 없어진 아버지는 매일같이 집안 곳곳을 고치느라 소음이 대단했지요. 좀 조용히 계셨으면 하는 마음에 회고록 써볼 것을 권했고, 글자를 간신히 깨친 아버지는 1947년까지의 일을 한자 한자 일기로 썼습니다. 제가 일기를 읽은 것은 89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였죠. 그것은 놀라운 ‘사회 다큐멘터리’였습니다.”

아버지가 남기지 못한 이후 기록을 아들은 어머니와 누나 등 가족의 입을 통해 써나갔고,‘자신의 존엄성은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는 자다브 본인의 메시지를 추가했다. 그는 “제가 정말 하고 싶었던 말은 어떤 계급차별이나 법적 제약도 이를 극복하려는 간절한 열망 앞에선 허물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면서 “책을 읽은 달리트 젊은이들이 카스트에 저항할 용기를 얻었다며 1만여통의 편지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자다브 총장은 한국 경제에도 깊은 관심을 표했다. 경제전문가인 그는 “1970년대에 일찌감치 경쟁력을 갖춘 한국은 인도가 50∼60년 걸린 경제성장을 20년 안에 이뤄냈다.”면서 “최근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지역에 한국 기업들이 속속 들어오는 점을 감안해 내년부터 푸네대학에서도 한국어 강좌를 개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다브 총장은 사회양극화 심화로 신빈곤 계층이 광범위하게 양산되고 있는 한국사회에 쓴소리를 잊지 않았다.

“제가 생각하는 평등은 상위층을 끌어내려 하위층에 맞추는 게 아닙니다. 하위층에게도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동일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한국도 인도처럼 하위층 다수의 정계진출로 상위층이 역전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문영기자 2moon0@seoul.co.kr
서울 신문에서 퍼왔습니다.
기사일자 : 2007-06-14    27 면



1stDream.com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