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북서부 탈레반지역 사실상 포기

2009.02.17 17:18

정근태 조회 수:3994 추천:34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세력으로 군림하다가 미국의 공격을 받아 존립 자체에 대한 큰 위기를 맞았었던 탈레반이 재기에 성공하여 이제는 아프가니스탄은 물론 파키스탄까지 사실상의 점령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 국방부 합동지휘본부가 1월 14일 자로 발간한 ‘합동작전환경’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수뇌부는 파키스탄의 정부가 일부 지역에서는 와해되고 있는 단계로 보고 있고, 앞으로 국가의 생존마저 위협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자르다리 파키스탄 대통령의 입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그는 2월 15일의 CBS와이 인터뷰에서도 “지금 방식으로는 탈레반을 이길 수 없다.”며 국토가 북서부를 중심으로 탈레반에 의해 대거 잠식되었음을 인정했다. 결국 정부는 북서부 말라칸드 지역에 대한 ‘이슬람 율법에 의한 통치’를 승인했다. 즉 이 지역에 대한 탈레반의 지배력을 인정하고 탈레반을 퇴치하기 위한 군사활동을 중지하는 평화협정이 체결된 것이다.

이는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고, 적어도 법률적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헌법을 가진 파키스탄의 상당한 부분이 이슬람 율법에 의해 통치되고, 종교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는 결과가 된다. 이는 결국 정부가 북서부 지역의 상당부분을 포기하고 탈레반에게 넘겨 준 것과 같다. 탈레반에 넘어간 스와트 계곡 지대는 수도인 이슬라마바드에서 불과 160 KM 정도의 거리이다. 상황 변화에 따라서는 탈레반이 파키스탄 전체를 집어삼킬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앞으로 북서변경주의 일부 지역을 포함해서 파키스탄 북서부의 꽤 넓은 지역은 파키스탄의 헌법과 파키스탄 의회, 그리고 주 의회에 의해 통과된 법률이 효력을 상실하고 탈레반의 명령과 샤리아법이라고 불리는 이슬람 율법만이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는 또한 미국과 적대적 전쟁 관계에 있는 탈레반이 미국의 협조국가인 파키스탄의 영내에 합법적인 근거지와 은신처를 확보하게 된 것을 뜻하기도 한다.



파키스탄, 북서부 탈레반지역 사실상 포기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세력으로 군림하다가 미국의 공격을 받아 존립 자체에 대한 큰 위기를 맞았었던 탈레반이 재기에 성공하여 이제는 아프가니스탄은 물론 파키스탄까지 사실상의 점령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 국방부 합동지휘본부가 1월 14일 자로 발간한 ‘합동작전환경’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수뇌부는 파키스탄의 정부가 일부 지역에서는 와해되고 있는 단계로 보고 있고, 앞으로 국가의 생존마저 위협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자르다리 파키스탄 대통령의 입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그는 2월 15일의 CBS와이 인터뷰에서도 “지금 방식으로는 탈레반을 이길 수 없다.”며 국토가 북서부를 중심으로 탈레반에 의해 대거 잠식되었음을 인정했다. 결국 정부는 북서부 말라칸드 지역에 대한 ‘이슬람 율법에 의한 통치’를 승인했다. 즉 이 지역에 대한 탈레반의 지배력을 인정하고 탈레반을 퇴치하기 위한 군사활동을 중지하는 평화협정이 체결된 것이다.

이는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고, 적어도 법률적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헌법을 가진 파키스탄의 상당한 부분이 이슬람 율법에 의해 통치되고, 종교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는 결과가 된다. 이는 결국 정부가 북서부 지역의 상당부분을 포기하고 탈레반에게 넘겨 준 것과 같다. 탈레반에 넘어간 스와트 계곡 지대는 수도인 이슬라마바드에서 불과 160 KM 정도의 거리이다. 상황 변화에 따라서는 탈레반이 파키스탄 전체를 집어삼킬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앞으로 북서변경주의 일부 지역을 포함해서 파키스탄 북서부의 꽤 넓은 지역은 파키스탄의 헌법과 파키스탄 의회, 그리고 주 의회에 의해 통과된 법률이 효력을 상실하고 탈레반의 명령과 샤리아법이라고 불리는 이슬람 율법만이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는 또한 미국과 적대적 전쟁 관계에 있는 탈레반이 미국의 협조국가인 파키스탄의 영내에 합법적인 근거지와 은신처를 확보하게 된 것을 뜻하기도 한다.


- 푸른섬선교정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04 * 이슬람, 무슬림 * 게시판을 열며 file 정근태 2004.11.05 6634 43
203 이슬람의 다섯가지 기본 신조 정근태 2004.11.05 6610 56
202 인도네시아 이슬람화(化) 전망 file 정근태 2008.04.22 6559 39
201 이슬람 제1성지 ‘메카’-2편│ “성지 순례, 지위‧명예 내려놓고 언행 절제해야” file 정근태 2013.08.14 6504 0
200 유럽의 이슬람화와 미국의 이슬람 정근태 2014.09.01 6500 0
199 한국 이슬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전망(7) 정근태 2014.07.02 6397 0
198 5년만에 완성된 세계최대 코란 file 정근태 2012.08.20 6394 0
197 미국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동기 정근태 2014.09.12 6292 0
196 이슬람은 무엇을 믿는가? 정근태 2004.11.05 6290 34
195 도축하는 '이슬람 명절'… 한국 무슬림들 file 정근태 2009.11.27 6258 43
194 16억 이슬람인 최대 축제 ‘라마단’의 경제학 file 정근태 2013.08.07 6147 0
193 우리 엄마는 어디에 file 정근태 2004.11.15 6126 24
192 2050년 종교 상황 예측 file 정근태 2015.04.07 6120 0
191 무슬림 국가 알제리의 조용한 혁명 file 정근태 2007.11.17 6095 44
190 서구의 무슬림 공동체의 목표 정근태 2014.09.21 6072 0
189 <6> 터키 파묵칼레, 자연의 축제속에서 사회적 통제에 묶이다. - 민병욱의 이슬람에게 공존을 묻다. file 정근태 2013.04.11 6070 0
188 사우디아라비아, 여성의 올림픽 출전 결국 무산? file 정근태 2012.06.08 6055 0
187 ISIL, 요나의 무덤 훼손 정근태 2014.07.17 6053 0
186 <3> 앙카라, 반공이데올로기와 아나톨리아문명을 경험하다 - (민병욱의 이슬람에게 공존을 묻다) file 정근태 2013.03.24 6036 0
185 사우디, 운전한 여성에 태형 선고 정근태 2011.09.28 5988 0

SITE LOGIN :)